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

관동대지진에서 태평양전쟁 발발까지의 예술 운동과 공동체
私自身であろうとする衝動

구라카즈 시게루 지음
한태준 옮김


2015년 인디고서원 4월의 추천도서


*현재 흠난책은 없습니다.
*새 책 구입은 온/오프라인 서점을 이용해주세요.

 

 

자기계발의 시대에, 20세기 초의 미적 아나키즘의 계보에 다가가는 것은 현재의 상황에서 하나의 원점을 검토하는 것이다

 

미적 아나키즘은 나의 내부에서 ‘생명[삶]’이란 능산적 자연을 발견해낸 것에서 시작되었다

 

생명[삶]에서 여러 가지 욕망이나 정동 그리고 이미지가 일어나고 세계와 나를 형성한다

그것은 ‘나의’ 현재의 생명[삶]을 전폭적으로 신뢰하는 것이다

 

 

현대는 개인이 조직적인 보호막을 잃어버리고, 유동하는 사회에 내던져져 버린 시대이다. 때문에 다시금 개인적인 창조성이 조명 받고 있다. 거기서 벌거벗겨진 ‘생명[삶]’의 의미가 정치적 쟁점으로 되어 가고 있다. 전전(戦前) 시기의 미적 아나키즘의 계보에 다가가는 것은 현재의 상황에서 하나의 원점을 재검토하는 작업이 될 것이다. 그것은 ‘생명[삶]’에서 시작하는 욕망이나 정동을 믿는 것으로, 무엇이 발생하고 무엇이 갈라섰는지, 또 우리들이 예술이란 이념을 폐기함으로써 무엇을 잃고, 무엇이 변하는 것인지를 생각하는 수단이 될 것이다. ― 「프롤로그 : 미적 아나키즘이란 무엇인가」 중에서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이란 무엇인가?

 

이 말은 백화파 작가 아리시마 다케오의 『사랑은 아낌없이 빼앗는다』의 1절에서 온 것이다. 다이쇼기(1912~ 1926)에서 쇼와(1926~1989) 초기에 걸쳐 활동했던 예술가, 작가, 지식인들에게는 메이지(1868~1912) 말기의 사회적 속박에서 해방되어, 보다 창조적이고 자유로운 ‘나’로서 이제 막 주체로서 새롭게 태어나는 것이 문제로 되었다.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은 고정된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태도가 아니다. 이 말은 이미 시간적 변화를 내포하고 있다. 능동적 행위자로서의 ‘나’가 있고 행위의 목표로서의 ‘나’가 있다. 그래서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이란 부단한 전개와 표출, 새로운 자기의 획득, 끝이 없는 변화이다. 세계를 창출함과 동시에 새로운 ‘나 자신’을 만들고, 표현한다는 의미에서 미적이고 창조적인 주체 구성의 원리인 것이다.

 

 

간략한 소개

 

금융위기 이후 현대사회는 그 방향을 잃어버린 채 그저 흘러가고 있을 뿐이다. 미래를 걱정하는 우리에게 꿈이라는 것은 이미 사치처럼 되어버렸다. 우리는 유리 바닥에 발을 딛고 서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가족, 국가, 종교는 이런 불안에 대한 해답이 되지 못한다. 이런 불안 속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한편에서 ‘나’는 무엇이든 할 수 있을 것 같고, 다른 한편에서 ‘나’는 특별할 게 없는 무력하고 초라한 존재로 느껴진다. 그러나 나는 나 자신을 사랑해야만 하고 자존감을 가져야만 살아남을 수 있다. 그것이 시대의 명령이다. 오늘날 지배적으로 된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의 역사적 기원은 무엇일까? 이 충동은 우리를 어디로 이끌고 가는 것일까?

 

일본의 20세기 초, 즉 다이쇼기(1912~1926)에서 쇼와(1926~1989) 초기에 이르는 시기는 새로운 시대(사조)의 시작과 어두운 시대의 전조가 동시에 감지되고 있었던 대전환기였다. 일본의 예술·건축·영화·문학은 다양한 실험을 시작했고 장르를 넘어선 혼종 속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꽃을 피웠다. 역사상 처음으로 ‘무명의’ 개인의 ‘생명[삶]’이 곳곳에서 넘쳐흐르기 시작했고, 그것을 거대한 운동으로 결실맺고자 한 움직임이 계속해서 일어났다. 

 

21세기 신자유주의와 20세기 초 일본사회를 비교하고 대화하게 함으로써 저자는 두 시대 모두에서 생명[삶]이 사회적·정치적 화두가 되었음을 확인한다. 21세기에 우리들은 ‘나 자신’의 삶을 부단히 가꾸고 계발해야만 한다고 강요 받는다. 20세기 초 일본의 지식인들에게 ‘나 자신’은 예술과 창조의 시작점, 분출하는 생명 그 자체였다. 1923년 9월 1일 관동대지진 이후의 일본 사회와 문화는, 2011년 3월 11일 동북부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참사 이후 일본 및 세계 사회와 문화의 한 축도를 보여준다.

 

이 책은 생명[삶]을 중심에 놓고 노동·정치·예술을 통합적으로 사고했던 20세기 초 일본 예술가들의 생각과 작품을 해부한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기 위해서이다. 우리 시대에 생명[삶]의 회복이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 거기에서 예술의 역할은 무엇일 수 있는가? 다시 말해 20세기 초의 미적 아나키즘의 계보에 다가가는 것은 현재의 상황에서 하나의 원점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 책의 제목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은 소설가이자 사회운동가로서 활약했던 아리시마 다케오의 말이다. 아리시마 다케오를 시작으로 미야자와 겐지, 에도가와 란포, 야나기 무네요시, 오스기 사카에, 곤 와지로, 야스다 요주로, 요코미쓰 리이치, 하기와라 교지로 등 ‘생명[삶]과 예술’ 그리고 ‘생명[삶]과 운동’의 통합을 시도했던 작가들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상세한 소개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이 퍼져 있는 시대

‘자기 계발’, ‘자기 경영’, ‘자기 소개’, ‘자기 혁명’ 같은 말들이 보여주듯이 우리는 자본주의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기’를 부단히 연마해야만 한다. 돈벌이를 찾기 위해서 ‘자기’는 타인과 다른 유일하고 특이한 것이 되어야 한다. 즉 ‘나 자신이기’는 ‘타인과 구별되는 특별한 내가 되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나’는 항상 자신과 타자를 비교하고, 인간관계에서 괴로워”(310쪽) 한다. 그래서 ‘피로사회’나 ‘자기 착취’라는 말이 큰 공감을 얻고, 피로는 ‘미움 받을 용기’와 ‘버텨내는 용기’ 같은 개인의 심리적 문제를 다룬 주제들을 찾게 만든다.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은 사회적 관계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20세기 초 일본에서 자유란 예컨대 지역, 혈통 같은 “전통적인 인간관계의 구속에서 개인을 해방”시키고 “각자의 의지에 따라서 개방적인 사회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했다. 

오늘날에는 이미 전통적인 사회관계들이 상당 부분 해체되었다. 저자는 일본의 젊은 층이 “전후 일본의 생활공간을 지탱해온 회사·가족이라는 공동체의 붕괴”에 노출되어 있다고 진단한다. 그래서 일본의 청년세대는 인간관계 역시 하나의 자산으로 취급하면서 생존을 위해서 적극적으로 사회관계를 창출해야 한다. 경쟁적으로 인맥에 집착하는 우리 또한 다르지 않다. 그동안 우리들의 생활공간을 지탱해 오던 회사와 가족, 넓게는 국가라는 공동체는 붕괴하고 있다. 점점 사회적 관계는 서로간의 이익 집산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해체되어 가기를 반복한다. 그것에 대한 반동적인 움직임으로 오히려 기업, 가족, 국가라는 공동체를 공고화하고자 하는 배타적이고 국수주의적인 모습도 나타난다. 

이제 개인은 어떠한 “외적인 참조점”도 없는 채로, 자기 자신의 욕망과 미래를 자기 자신 속에서 일구어 내야만 한다.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은 과거에는 예술가의 특권이었지만, 오늘날에는 전 사회에 퍼져 있는 상태이다. 

 

생명정치와 미적 아나키즘

1923년 관동대지진을 전후로 한 시기는 일본에서 ‘대중사회’가 출현한 시기이자 ‘생명정치’ 쪽으로의 방향전환을 뚜렷하게 목격할 수 있는 시기이다. 메이지 정부가 진행시킨 급속한 산업화와 자본주의화로 ‘대중’이 등장했다. 대중을 통치하기 위해 위생학이 보급되었고, 도시계획과 사회정책이 펼쳐졌다.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거치며 확립된 대의제는 모든 개인을 ‘국민’으로 등록해 국가의 기능 속에 포섭했다. 이것은 “개별로 뿔뿔이 흩어진 대중의 생명[삶]에서 출발”했고 “대중의 욕망이나 의지를 이해하고 파악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생명정치의 기술과 닮아 있었다. 

대중사회의 본격적인 출현과 함께 일본에서는 개인의 창조성, ‘나’의 단독성, 나의  생명을 최대한으로 강조하는 사상이 사회의 여러 부문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나를 대표하는 것은 나밖에 없다는 태도”를 일관되게 취했던 하기와라 교지로(萩原恭次郎), “욕망의 표현으로서의 도시를 순식간에 스케치”하는 고현학을 창시한 곤 와지로(今和次郎) 등 이 책의 등장인물들이 이 점을 보여준다. 

저자는 이 시대에 일본 예술을 폭넓게 지배했던 이 표현론적 원리를 “미적 아나키즘”이라고 부른다. 미적 아나키즘은 “익명의 ‘나’, 즉 생물학적인 생명”에 의거한다. 따라서 미적 아나키즘이 “고향을 잃어버리고 상호간에 관련이 끊긴, 유동하는 개인들”(25쪽)인 대중의 출현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미적 아나키즘은 예술에 있어서 개인의 자기표현에 최대한의 가치를 두는 것이다. “나는 나로부터 솟구쳐 나온다. 나는 나를 완성시킨다. … 순간적인 본능·욕망·충동의 절대적 긍정, 자기를 속박하는 규범의 거부인 것이다. 자기숭배의 사상이며, 자기가 제로에서 완전히 새로운 것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사고이다. 그것은 전통적 가치의 일소를 의미한다.”(35쪽)

 

우리는 새로운 아나키즘 시대를 살고 있다

현대의 급속한 기술 변화와 실업률 증가 그리고 가족의 해체 등은 이 책이 다루는 일본 근대의 모습과 닮은 점이 많다. 예를 들면 이런 것이다. 20세기 초 일본에서는 고학력자들의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그들이 모여드는 공간으로서 카페가 성행했다. 1923년에 일어난 관동대지진 이후에는 사회의 불안감을 이용하여 우익 세력이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 

2015년을 살고 있는 우리는 3·11을 목격했고 세월호를 경험했다. 급작스런 파국들의 연쇄 속에서 사회 곳곳에는 불안감이 만연해 있다. 권력자들은 불안감을 이용하여 자신의 힘을 더욱 공고하게 만드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복지 축소와 노동의 불안정화는 점점 더 개인의 삶을 불안하고 유동하는 것으로 만든다. 사람들은 더 이상 국가나 기업이 안전을, 인간적인 삶을 보장하리라는 기대를 할 수 없다. 

다른 한편 21세기에 아나키즘은 사상적인 관점으로서도 부활하는 것처럼 보인다. 저자에 따르면 아나키즘은 국가 = 당의 지도권을 인정하기보다는 개인의 창의적인 노력이 세계를 바꾼다고 믿는 사상이다. 오늘날에는 현대사회를 비판하는 운동이 분산적인 네트워크의 형태를 선택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단일한 지도부를 찾기 어려웠던 2008년 촛불이 그러했으며, 금융위기 이후 아랍과 미국을 시작으로 전 지구적으로 계속되고 있는 사회운동들은 수직적 조직화보다는 수평적 네트워크를 공공연히 원리로 내세운다. 

이러한 운동들은 종종 개인의 ‘벌거벗은 생명’이 ‘위기’이자 새로운 가능성이기도 하다는 입장에 선다. 다이쇼, 쇼와 초기 예술가들이 ‘나’와 ‘나의 생명’에서 모든 것이 시작된다고 보았듯이, 현대의 아나키즘도 개인의 자유와 창조성이야말로 가치가 있는 것이고, 어떠한 상위의 권위나 강제에 의하지 않고 개인이 자기조직적인 운동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현대의 ‘불행’ 속에서 ‘나 자신’의 행방

예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이러한 불안의 시대에 이 책은 오히려 세계가 아닌 개인의 내부로 시선을 돌린다. 더 이상 세계의 일부로 존재하는 ‘나’가 아닌 세계를 창조하는 ‘나’. 내가 지닌 생명의 주인은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나라는 사상. 그 생명을 자신이 생각하는 대로 살아가는 자유.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내 생명을 되찾는 일이다. 

저자는 일본 근대 시기, 문화적 창조를 통해 생명[삶]의 감각을 회복하고자 했던 예술가와 운동을 제시한다. 이 책의 등장인물들은 예술과 정치, 노동을 분리된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그들은 미적인 것을 통해서 보다 자유롭고 해방적인 사회가 가능하게 된다고 믿었고, “자유롭게 자기를 표현(산출)하면서 서로를 산출한다”는 비전을 갖고 있었다. 예를 들어서 미야자와 겐지는 예술(미적 경험)의 창조야말로 사람들을 연결하고, 공동체를 조직한다고 생각했다. 

또 1920~30년대라는 시대는 일본이 자본주의의 본격적인 침투로 인한 사회적 유대의 해체와 더불어 사적 욕망의 상품화를 경험한 최초의 시기였다. 예를 들어 이 책의 2장 「닫힌 방」에서는 주거공간에서 ‘독실’이 유행하는 과정, 이 현상을 둘러싼 이야기들, 그리고 독실로 인한 사적·공적 영역 간의 관계 변화를 다루면서 자본주의가 처음으로 개개인의 삶 속에 깊이 침입하면서 벌어지는 일들을 흥미롭게 그려보인다.

우리는 오늘날 ‘예술과 노동’, ‘예술과 정치’의 분리불가능성이 피부로 느껴지는 시대에 살고 있다. 감정과 욕망을 언어화하고 표현하는 것이 “개인이 살아 나가기 위한 실존적인 과제”가 되었다. 또 지금은 자본주의가 우리의 정동, 욕망, 꿈까지도 착취하는 인지자본주의 시대이다. 그렇기 때문에 1920~30년대의 작품들 속에서 드러난 내면의 혼란, 자기 자신을 방어하고 지키려 했던 그들의 모습 속에서 우리 자신을 발견하고 공감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저자는 현대의 ‘불행’ 속에 벌거벗겨진 채로 있는 ‘나 자신’에게 스스로의 욕망이나 실존 상태에서 새로운 자기를 형성할 것을 요구한다. 이 책은 어떤 정해진 해답을 제시하지 않는다. 그와 달리 독자들에게 주체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좌표를 보여준다. 선택의 주체는 바로 ‘나 자신’이다. 이 책은 그 가능성을 일본 근대에 미적 아나키즘을 중심으로 태동한 예술운동을 반면교사로서 보여주고자 한다.

이 책은 예술의 가능성에 대해 질문한다. 저자는 “인간이 미적인 영역 없이 산다는 게 불가능한 이상, 어떠한 형태로든 문화적 창조를 통해서 생명[삶]의 감각을 회복하고자 하는 운동이 계속되”고 있다고 말한다. 저자가 20세기 초 역사적 추세의 한복판에서 ‘예술’을 사고했던 인물과 단체를 다룬 것도 그 때문이다. “공동체의 해체와 회귀가 뒤죽박죽 진행되는 가운데 우리는 어떠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생명[삶]의 의미를 확인할 것인가. 그때, 문화나 예술은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인가. 이러한 것이 이 책을 집필하는 동안 나의 마음을 붙잡고 있던 질문이었다.”(한국어판 지은이 후기 중에서)

 

다양한 장르를 오고 가는 풍부한 이론적 해석

이 책의 학술적 의의는 예술, 건축, 영화, 문학 등 다양한 장르를 오고가며 여러 사상가들의 생각들을 토대로 풍부한 이론적 해석을 보여준다는 데 있다. 일본 사상가 가라타니 고진을 비롯하여, 조르조 아감벤, 비트겐슈타인, 미셸 푸코 같은 현대 사상가들과 베르그손, 칸트, 하이데거, 아리스토텔레스, 슈미트 등 서구의 철학사를 저자는 폭넓게 참조하고 있다. 다양한 일본 근대 문학 작가들의 대표 작품 인용과 인문학적 이론들이 책 속에서 빈틈없이 조화를 이루며 틀을 완성하고 있다. 

이 책은 또한 국내에서 보기 드문, 일본 근대에 대한 심층적 연구라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국내에서 접하기 힘든 에도가와 란포, 야스다 요주로, 미야자와 겐지 등 일본 근대 작가에 대한 분석이 실려 있고 그들의 작품들이 인용되어 있기에 일본 근대 연구나 일본 문학 연구자들, 또 동아시아 예술과 문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학문적 지평을 열어 줄 것이다.  

 

 

책 속에서

 

고현학은 보들레르가 1860년대에 도입한 “일시적인 것, 변하기 쉬운 것, 우발적인 것”이라는 미적 표준이, 일본에서 철저하게 개화한 것이었다. 보들레르가 말하는 ‘화가’처럼 곤 와지로 등은 “가는 곳마다 현재의 삶의 일시적인, 순간의 미를” 찾는다. ― 1장 「포스트 백화파 세대」

 

주거개선 운동은 열쇠를 잠그는 독실이란 공간을 만들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하나의 역설을 낳는다. …… 확실히 가정(가옥)이라는 전체 속에서 각각의 방은 명확한 기능을 부여받고 있었다. 하지만 일단 문을 닫아 버리면, 실내는 전체에서 분리되고, 아무것도 아닌 장소, 다시 말해 무엇이든 될 수 있는 장소가 된다. ― 2장 「닫힌 방」

 

미와 노동을 연결하여 노동이야말로 미적인 것이고, 미는 노동에 의해 생겨난다고 사고하는 태도는 미야자와 겐지에게도 엿볼 수 있듯이, 다이쇼에서 쇼와에 걸친 사상의 주조(主潮)였다. 그러한 사상은 잃어버린(그렇게 설정된) 공동체를 수십 명에서 수백 명의 소규모 단위로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 3장 「기술의 무한 운동」

 

요코미쓰가 격렬하게 매혹되고, 그리고 아마도 속수무책으로 두려워한 것은 이러한 군중이었다. 그는 그곳에서 미친 도시의 결정적인 은유를, 적어도 그 미친 도시의 밑부분으로 열린, 헤아릴 수 없는 무정부 상태(anarchy)를 간파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무정부 상태야말로 근대사회가 그 시작부터 아무리해도 뿌리칠 수 없었던 망령, 거울 내부에 스쳐 가는 영상과도 닮은 분신(double)은 아니었을까. ― 4장 「셀룰로이드 속 혁명」

 

나는 세계의 극히 작은 일부가 아니라, 세계를 성립시키며, ……  의식과 세계는 구별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나의 죽음과 탄생이 그대로 세계의 몰락 또는 구제와 등가가 된다. 세계의 종말은 단순한 관념 따위가 아니라, 나의 죽음으로서 나타나는 실존적인 공포와 황홀 그 자체가 된다. ― 5장 「의식의 형이상학」

 

야스다의 논리에서 천황 가문의 피의 연속성이 천재로서의 동일성과 하나가 되어 있고, 그 결과 천황의 행위(노래를 읊고, 정사를 행하는 것)가 미적 창조물로서의 일본을 만들어 내고, 그에 따라서 재야의 문인들, 아니 국민의 사명은 천황을 따름으로써 성스러운 국토를 방위하는 것이다. ― 6장 「‘혈통’의 생성」

 

 

각 장의 주요 등장인물과 단체

 

1장 「포스트 백화파 세대」는 관동대지진으로 촉발된 도시공간의 급속한 변화와, 백화파 이후의 예술가들이 미적 아나키즘을 어떻게 자신의 것으로 변형시켰는가를 탐구한다. 

·<분리파 건축회> (分離派建築会) 1920년(다이쇼 9년)에 도쿄 제국 대학 건축학과 졸업생들에 의해서 시작된 일본 최초의 건축운동이다. 건축이 ‘예술’이라고 주장했다.

·곤 와지로 (今和次郎, 1888~1973) 오래된 민가 연구에서 출발해서 관동대지진을 계기로 요시다 겐키치와 ‘고현학’을 창안했다. 일상생활의 모든 사물과 행위를 기록하는 것을 지향했다. 

·하기와라 교지로 (萩原恭次郎, 1899~1938) 시인. 미래파, 다다이즘 등에 영향을 받아 20대에 상경하여, 시집 『적과 흑』을 발행했다. 1925년에 출판한 『사형선고』는 일본 근대시 사상 가장 과격한 실험을 행한 시집이라 불린다. 

 

2장 「닫힌 방」은 다이쇼 말기에서 쇼와 초기에 걸쳐 유행한 ‘독실’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통해 당시의 시대상을 분석한다. 주거 공간의 변화는 개인적인 사적 영역과 공적인 영역이라는 구분을 만들어 내기 시작했다. 

·우노 고지 (宇野浩二, 1891~1961) 소설가. 능숙하고 막힘이 없는 문체로 쓴, 유머러스하고 비애감 넘치는 사소설 작가.

·에도가와 란포 (江戸川乱歩, 1894~1965) 소설가. 『동전 2전』 등 명탐정 아케치 고고로가 활약하는 여러 작품을 통해 일본에서 탐정 소설이라는 장르를 확립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 (川端康成, 1899~1972) 소설가. 요코미쓰 리이치 등과 『문예 시대』를 창간. 신감각파의 대표적 작가로서 활약했지만 이후에는 『설국』, 『금수』 등 섬세하고 탐미적인 작품으로 전환해서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다니자키 준이치로 (谷崎潤一郎, 1886~1965) 소설가. 『문신』으로 데뷔. 관능적 세계에 빠져 버린 남성상을 그리며 탐미파의 대표 작가로 인정받았다. 

 

3장 「기술의 무한 운동」은 ‘민예운동’의 창시자인 야나기 무네요시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장에서는 야나기의 발상을 하이데거와 비교하면서 이러한 반근대주의가 오히려 근대적인 것이었음을 이야기한다. 

·야나기 무네요시 (柳宗悦, 1889~1961) 미학자, 종교 사상가. 잡지 『백화』 창간에 참가. 1920년대 중반부터 이름도 없는 일상적인 도구의 아름다움에 눈을 떠서, 그것들을 민예품이라 부른다. 민예운동을 조직하여, 민중 공예의 수집과 소개에 전념했다. 야나기의 민예 이론은 소박한 것, 무개성적인 것, 자연적인 것을 존중한다.

 

4장 「셀룰로이드 속 혁명」은 다이쇼와 쇼와에 걸쳐 일어난 일본의 사회변동을 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 이론과 같은 영화이론을 통해서 설명하고 있다. 요코미쓰 리이치의 『상하이』에서 엿보이는 영화적 특성이 어떠한 효과를 만들어 내는지 분석한다.

·요코미쓰 리이치 (横光利一, 1898~1947) 작가. 1930년 무렵에 『기계』, 『상하이』 같은 대표작을 잇따라 발표하지만, 그 후 장편소설 『여수』(旅愁)를 미완으로 남겨 놓고 사망했다.

 

5장 「의식의 형이상학」의 주인공은 미야자와 겐지이다. 그의 작품을 통해서 나타나는 특이성은 세계의 기저로서의 ‘의식’에 대한 주목에 있다. 겐지의 시와 동화를 통해서 그가 가지고 있던 사회 변혁의 발상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미야자와 겐지 (宮{沢賢治,1896~1933) 시인. 동화작가. 농학교 교사 시기, 학생들을 지도하여 자신이 만든 연극을 상연했고, <라스 지인 협회>를 결성해서 주위의 청년들과 문화운동을 행하였다. 

 

6장 「‘혈통’의 생성」은 야스다 요주로의 사상을 통해서 미적 아나키즘이 어떻게 변해 갔는지를 이해하고자 한다. 야스다는 주체의 자리를 개별의 예술가가 아닌 민족으로 이동시킨다. 그에게 있어 개인은 하나의 계기에 불과하다. 

·야스다 요주로 (保田與重郎, 1910~1981) 나라현 사쿠라이시에 출생. 도쿄 제국 대학 미학과 미술사학과 재학 시절부터 적극적으로 문학과 미술 관련 평론을 발표하면서 인정받았다. 활동 초기에는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일본의 전통미를 찬미하는 입장이었는데, 중일전쟁과 함께 국수주의적 경향이 강해졌고, 전후에 많은 비난을 받았다.

 

 

추천사 

 

“이전의 공동체가 붕괴하고 개인은 부유하는 오늘날, 사회의 유동화에 의해 모든 영역에서 명백함은 소실되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우리는 왜 살고 있는 것인지 알 수 없다는 질문이 생겨나고 사람들은 ‘단지 살아갈 뿐’이라는 상황에 빠져 있다. ‘나라고 하는 생명[삶]’이 벌거벗은 채로 세계에 휩쓸리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이런 벌거벗은 ‘생명[삶]’에 의미와 문맥을 회복하기 위해서 새롭게 생명[삶]을 사고하는 것, 생명[삶]에서 사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관동대지진 전후 시기의 일본이다. 그 시기는 메이지기의 사회적 속박에서 해방된 자유롭고 창조적인 ‘나’라는 존재의 탄생이 기대되었던 때였다. 아리시마 다케오로 대표되는 ‘생명[삶]의 해방’이라는 조류를 저자는 ‘미적 아나키즘’으로 파악한다. 미적 아나키즘이란 본능, 욕망, 충동을 절대적으로 긍정하고 자기를 속박하는 규범을 거부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기 내부에서 생명[삶]이라는 능동적 자연을 발견하고 숭배한다. 미적 아나키스트는 국가를 넘어선 연대를 희망했다. 자율적인 개인들 간의 연계가 사회체를 산출하고, 생명[삶]을 해방시킨다. 내면적인 자기 해방과 억압된 사람들의 정치적인 해방이 동시에 ‘생명[삶]의 확장’, ‘자기표현’으로서 나타난다.” ― 나카지마 다케시, 홋카이도 대학 조교수

 

 

지은이

 

구라카즈 시게루 倉数茂,  1969~

 

와세다 대학 제일 문학부 졸업 후 출판사에서 근무했다. 그 후 긴키 대학 문예학부에서 석사학위를 마치고, 도쿄 대학 총합 문화 연구과에서 언어정보과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2005년부터 5년 간 중국 광둥성 및 푸젠성의 대학에서 일본 문학을 가르쳤다. 2012년부터 토카이 대학 문학부 문예창작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다. 동시대의 사상 및 사회 상황 속에서 일본 근대 문학이 갖는 의미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과거의 처참한 살인 사건에 휘말려가는 소년 소녀를 그린 미스터리 소설 『검은 나비의 여름』(黒揚羽の夏, ポプラ社, 2011)을 통해 소설가로 데뷔했으며, 그 밖에도 소설 「시작의 어머니 나라」, 「마술사들의 가을」을 발표했다. 현재는 나쓰메 소세키, 나가이 가후, 에도가와 란포 등 판타지 소설 작가들에 대한 저작을 준비 중이다.

 

 

옮긴이

 

한태준 Han Tae Joon, 1979~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영화영상학과에서 「일본 영화의 그로테스크성을 통한 근대 속 전근대성의 의미 ― 에도가와 란포 소설의 각색 영화를 중심으로」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전공 분야는 영화 이론으로, 일본 영화에 나타나는 근대적 표상에 대한 연구이다. 졸업 후 『머니투데이』 산하 『대학경제』 지에 약 1년간 영화 리뷰를 기고하였고, 『폭력의 엘레지 스즈키 세이준』(문화학교 서울, 2002)에 주요 작품 소개를 부분 기고하였다. 그 외에 서울아트시네마에 <인협영화특별전>, <마쓰무라 야스조 특별전>, <요시다 기주 특별전> 관련 아티클을 기고하였다. 『후쿠시마에서 부는 바람』(갈무리, 2012)에 공역자로 참여하여 시부야 노조무 교수의 소논문 「사회적 비용의 전복」을 번역했다. 현재 마쓰야마 이와오의 『란포와 도쿄』(乱歩と東京)를 공역 중이다.

 

 

목차

 

프롤로그  미적 아나키즘이란 무엇인가  9

세계주의와 벌거벗은 ‘생명’  9

아나키즘의 시대  12

미적 아나키즘의 특징  16

생명[삶] 권력과 아나키즘  24

대표성과 적대성  26

공동체  28

 

1장  포스트 백화파 세대  33

자유의 아포리아  35

‘분리’와 ‘표현’  39

지진과 ‘부락건축 논쟁’  49

‘고현학’  56

도시의 리듬  60

‘전위’의 시대  66

개의 언어  72

‘벌거벗은 생명’  76

사적 언어로서의 시  82

도시 폭동  84

 

2장  닫힌 방  91

공간 배치의 개선  93

농촌과 도시의 결합 ― 전원 유토피아  100

‘독실’의 탄생  108

열거하는 것, 수집하는 것  120

거울의 세계 ― 쇼와  128

『비인간적인 사랑』  137

욕망의 방  148

 

3장  기술의 무한 운동  159

‘민중적 공예’의 탄생  161

‘자연’과 ‘예술 작품의 근원’  169

‘전승적 가치’  176

‘이름’의 부정과 야나기 미학의 귀결  183

 

4장  셀룰로이드 속 혁명  187

요코미쓰의 『상하이』  189

스펙타클 도시  194

영화와 연필  198

군중, 기계, 아나키  205

도시의 볼거리  212

영화라는 신체  217

 

5장  의식의 형이상학  221

폭력의 예감  223

메르헨, 세계가 변모할 때  229

‘순수경험’의 시학  232

이야기와 바람  240

‘상기’의 극장 ― 대기권 오페라  244

자연, 또는 사물의 언어  249

이름의 해체  256

‘먹는 것’과 ‘먹히는 것’  258

빛과 율동  264

 

6장  ‘혈통’의 생성  275

다시 주조되는 미적 아나키즘  277

『예술의 한계와 한계의 예술』  280

‘회상’과 ‘동경’  284

‘혈통’의 생성  291

 

에필로그  미적 아나키즘의 행방  301

‘자연’이라는 문제  301

‘예술’에서 서브컬처(하위문화)로 ― ‘전후’의 여러 가지 문제들  304

현대의 ‘불행’과 생명[삶]의 생산  310

 

지은이 후기  315

한국어판 지은이 후기  319

옮긴이 후기  324

후주  328

참고문헌  369

인명 찾아보기  374

용어 찾아보기  378

 

 

책 정보

 

2015.3.19 출간 l 152×225mm, 무선제본 l 카이로스총서35, Cupiditas

정가 20,000원 | 쪽수 384쪽 | ISBN 978-89-6195-089-3 04300

 

 

구입처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  인터파크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미디어 기사

 

[연합뉴스] 신간 /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

[한국일보] 20세기 초 日예술계와 신자유주의 '나'로 통한다

[경남매일신문] 새책갈피 /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

[경상일보] 새로 나온 책 / 20세기 초 일본 예술가들의 사유와 작품

[교수신문] 774호 분야별 신간 도서 /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

[프레시안] '피로·부품 사회'에서 예술은 어떻게 삶에 연루돼 있나

[대구신문] 책 소개 /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예술의 역할과 소명은 ‘나’로 통한다

[월간 책chaeg]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

[월간 전시가이드] 나 자신이고자 하는 충동

[문화 다] ‘자유로운 나’의 아이러니에 빠지지 않고 ‘나’로서 살아가기 위해

[미디어스] '나'들의 힘으로 어떻게 내일의 삶을 직조할 것인가

 

 

보도자료

재입고 알림 신청
휴대폰 번호
-
-
재입고 시 알림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