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개념

1919년 11월 트리니티 칼리지 타너 강의
The Concept of Nature :
Tarner Lectures Delivered in Trinity College November 1919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지음
안호성 옮김



*현재 흠난책은 없습니다.
새 책 구입은 온/오프라인 서점을 이용해주세요.

 

 

우리는 우리 탐구의 목표가 단순성이기 때문에 사실 또한 단순하다고 생각하는 오류에 빠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모든 자연철학자를 인도해야 하는 삶의 지침은 이렇습니다. 언제나 단순성을 추구하고 그것을 불신하라!

 

화이트헤드는 앵글로-아메리카의 최후의 위대한 철학자다. ― 질 들뢰즈

 

이름이 ‘W’로 시작하는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는 비트겐슈타인이 아니라 화이트헤드다. ― 브뤼노 라투르

 

 

간략한 소개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가 1919년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진행한 타너 강의록. 화이트헤드의 타너 강의의 주제는 ‘과학철학, 그리고 다양한 지식 분야 사이의 관계 또는 관계의 결핍’이다. 1920년 처음 출간되었을 때 『자연의 개념』은 향후 수년간 철학과 과학의 관계에 관한 가장 중요한 연구 중 하나가 될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여러 세대가 지난 지금 『자연의 개념』은 여전히 주의 깊게 읽을 가치가 있는 책이다. 화이트헤드는 실체, 공간, 시간이라는 근본적 문제들을 탐구하면서 아인슈타인의 결과 해석 방법을 비판하고, 자신의 4차원 시공간 다양체 이론을 전개한다. 『자연의 개념』을 통해 소개되는 새로운 자연관은 과학적 연구를 인도하는 많은 어휘와 개념에 새로운 빛을 비춘다.

이 책은 스티븐 샤비로의 표현대로 “화이트헤드 철학의 기본 목적이 그가 ‘자연의 이분화’라고 부르는 것의 절대적인 분열을 극복하는 데 있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서양 철학자들은 현상적으로 나타나는 세계(나무의 푸르름, 햇볕의 따스함 등)와 그 안에 숨겨진 물리적 실재를 구분하는 것에 익숙한데 화이트헤드는 이 분열을 완전히 없애 버리려고 한다. 화이트헤드는 자연의 다양한 요소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바로 자연철학이라고 말한다. 

화이트헤드에 따르면 언제든 어디서든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면, 거기에 사건이 있다. 사건에 대한 이런 주장은 과학에서 근거를 찾기 힘든 ‘자연의 이분화’ 학설들과 달리, 시공간 전반에 걸쳐 전자기장의 놀이를 전제하는 근대 물리학에 의해 지지된다고 화이트헤드는 말한다. 화이트헤드는 사건에 대한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해서 ‘자연의 이분화’로 빠지지 않는, 자연에 대한 일관된 설명을 추구해 나간다. 

 

 

상세한 소개

 

화이트헤드는 누구인가? 

영국의 철학자, 수학자, 논리학자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는 1861년 영국 남부의 켄트주 램스게이트에서 태어났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을 전공했고, 런던대학의 임페리얼 칼리지 응용수학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 철학 교수를 역임했다. 수제자 버트런드 러셀과 공저 『수학 원리』를 썼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 등 현대 자연과학을 철학에 도입하여 철학 사상사에 새로운 국면을 전개한 과학철학자이자 “유기체 철학”의 철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자연의 개념』(1920)은 『자연 인식의 여러 원리에 관한 연구』, 『상대성 원리』와 더불어 화이트헤드가 런던 대학 재직 시절 집필한 과학철학 삼부작 중 하나이다.

화이트헤드가 철학사에 남긴 영향은 후대 철학자들의 화이트헤드에 대한 발언들 속에서 확인된다.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는 화이트헤드를 일컬어 “앵글로-아메리카의 최후의 위대한 철학자”라고 말했다. 벨기에의 철학자 이자벨 스탕게스는 여러 저작에서 화이트헤드를 폭넓게 참조하는데 “오늘날 화이트헤드와 함께 사유한다는 것은, 우리가 참조점으로 삼는 어떤 단어도 온전한 상태로 남지 않고 동시에 어떤 단어도 환상의 매개체로 무효화되거나 배척되지 않을 모험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2024년 말 타계한 프랑스 과학철학자 브뤼노 라투르는 “이름이 ‘W’로 시작하는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는 비트겐슈타인(Wittgenstein)이 아니라 화이트헤드(Whitehead)”라고 밝혔다. 객체지향 존재론의 창시자 그레이엄 하먼은 저서 『객체지향 교전』(Skirmishes, 갈무리, 근간)에서 “나는 하이데거가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라는 나의 오랜 주장을 최근까지 재고해 왔으며, 이제는 대신 화이트헤드가 그 자리에 더 어울린다고 생각하게 되었다.”고 썼다. 

 

화이트헤드와 당대의 사상가들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와 동시대 철학자들의 관계는 어땠을까. 

대표작 『과정과 실재』 서문에서 화이트헤드는 자신이 베르그손, 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에게 빚지고 있음을 밝힌다 : “나는 베르그손, 윌리엄 제임스, 존 듀이의 철학에 힘입은 바가 크다. 내가 먼저 해야 한다고 생각한 일 중 하나는 그들의 사고 유형을, 정당하게든 부당하게든 간에 그것에 줄곧 덧붙여져 왔던 ‘반주지주의’라는 비난으로부터 구출해내는 것이었다.” 

화이트헤드는 당대의 최신 과학 이론과 호흡하며 자신의 철학을 전개했다. 그는 아인슈타인을 “우주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혁신한 사람”으로 평가한다(『과학과 근대 세계』). 이 책 『자연의 개념』에서도 여러 곳에서 화이트헤드는 아인슈타인을 참조하고 언급한다. 예를 들어 “아인슈타인의 연구에는 우리가 그 연구에 가하고 싶어 하는 어떤 비판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근본적 공적이 있다는 일반적인 합의가 있습니다. 그 연구는 우리를 생각하게 만듭니다.”라고 화이트헤드는 말한다. 화이트헤드는 『자연의 개념』 9장에서 아인슈타인과 자신의 입장이 구별되는 지점이 어디인지를 밝힌다. 

수학자로서 명망이 높았던 화이트헤드는 헤겔(1770~1831)에 대해서는 자서전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나는 수학에 대한 헤겔의 몇 가지 발언을 연구하는 것으로 그를 읽고자 시도했는데, 그 발언들은 나에게 완전히 말도 안 되는 것으로 느껴졌다.” 그가 수학을 얼마나 중시했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자연의 개념』의 여러 곳에서도 화이트헤드는 수학을 활용해 논증을 진행한다. 

화이트헤드는 또 “서양 철학사는 플라톤에 대한 각주에 불과”하다고 말한 사람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자연의 개념을 다시 협상 테이블에 올려놓기 

이 책은 화이트헤드가 모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1919년에 행한 강의(1~7장)를 수록하고 있다. 강의의 주제는 ‘과학철학, 그리고 다양한 지식 분야 사이의 관계 또는 관계의 결핍’이다. 화이트헤드는 청중에게 자연이란 무엇인가를 물으면서 강의를 시작한다. 화이트헤드에 따르면 자연은 우리가 감각을 통해 지각한 것 속에서 관찰하는 것이다. 이것을 화이트헤드는 ‘감각-지각’이라고 부르는데 그 안에는 그 자체로는 사고가 아닌 어떤 것, “사고에 대해 자립적인” 어떤 것이 있다고 말한다. 

자연이 “사고에 대해 자립적”이라는 이 특성을 갖는다는 점이 자연과학의 기초에 놓여 있다. 그리고 화이트헤드는 다음 문장에서 “자연은 하나의 닫힌 체계로 생각될 수 있다”는 서술로 나아간다. “체계가 닫혀있다”라는 것의 의미는 그 체계 내부의 상호관계들은 사고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표현할 필요가 없이 성립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이트헤드는 이렇게 말한다. “감각-지각 속에서 자연이 존재자들의 복합체로 드러나며, 그 복합체의 상호관계는 정신에 대한 참조 없이, 즉 감각-알아차림이나 사고에 대한 참조 없이 사고 속에 표현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17쪽)

 

자연의 이분화를 거부하기 

2장 「자연의 이분화 이론들」에서 화이트헤드는 자신이 동의하지 않는 자연에 대한 여러 이론들을 검토한다. 특히 자신이 ‘자연의 이분화’를 철저하게 거부한다고 말한다. 자연을 이분화하는 이론들은 한쪽 끝에 전자와 분자 같은 것들, 즉 지식에 대해서 존재하는 실재를 위치시키고, 다른 쪽 끝에는 나무의 푸르름, 새들의 노래, 햇볕의 따스함, 의자의 딱딱함, 벨벳의 감촉 같은 것들을 위치시킨다. 이분화 이론들에서는 이 두 자연이 만나는 지점이 정신이다. 

인과적 자연(전자, 분자의 추측 체계)은 정신으로 유입하고 외양적 자연(나무의 푸르름, 햇볕의 따스함 등)은 정신으로부터 유출된다. 그런데 화이트헤드에 따르면, 인과적 자연이 정신의 밖에서 정신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 그렇다면 화이트헤드는 질문한다. 이분화 이론의 설명에 근거가 없다면, 전자와 분자가 망상인가 색깔과 소리가 망상인가? 혹은 둘 다 망상인가? 혹은 어느 쪽도 망상이 아닌가? 우리에게는 인과성, 시간, 공간, 망상 개념의 재정리가 필요하다고 그는 결론 내린다. “지식의 객체와 관련된 어떤 난점도 그것을 아는 정신이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는 없”(49쪽)기 때문이다.

스티븐 샤비로는 『사물들의 우주』에서 화이트헤드 철학의 기본 목적이 “자연의 이분화”라고 부르는 것의 절대적인 분열을 극복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혹은 “의식적으로 포착한 자연과 그러한 의식의 원인이 되는 자연”의 간극을 극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서양 철학자들은 현상적으로 나타나는 세계(나무의 푸르름, 햇볕의 따스함 등)와 그 안에 숨겨진 물리적 실재를 구분하는 것에 익숙한데 화이트헤드는 이 분열을 완전히 없애 버리려 한다. 그래서 화이트헤드는 “붉게 빛나는 노을”과 지구 대기 중으로 굴절되는 햇빛의 “분자와 전자파”가 동일한 존재론적 지위를 가지는 세계를 설명하고자 한다(『사물들의 우주』, 18~19쪽). 화이트헤드는 “자연의 다양한 요소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바로 자연철학”이라고 말한다. 

 

시간, 공간, 사건

화이트헤드는 “자연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은 시간의 특징과 공간의 특징에 관한 논의로 주로 귀결된다.”고 말한다(55쪽). 그래서 『자연의 개념』 2장 이후 장들의 많은 부분이 시간과 공간에 대한 개념을 갱신하는 데 바쳐진다. 시간과 공간은 우리가 “그 안에” 있다고 느끼는 만큼 독립적인 체계인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화이트헤드는 시간과 공간이 독립적이라는 그 느낌을 문제 삼는다.

4장에서 화이트헤드는 이런 예를 든다. 어떤 사람이 차에 치였다고 해보자. 통상 우리는 그러한 종류의 일을 ‘사건’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우리는 사건을 “시간, 공간, 물질이라는 세 가지 요인으로 분석하는 데 익숙”하다. 이런 분석은 유용하지만, 화이트헤드는 “이러한 요인 중 어느 하나라도 구체적인 독립성을 가지고 우리의 감각-알아차림에 대해 상정되어 있다는 점”은 부정한다. 우리가 사건 앞에서 지각하는 단 한 가지는 “그때-거기에서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는 단 하나의 단위 요인이지, 독립적인 시간과 공간이 아니다. 화이트헤드에 따르면 시간과 공간은 독립적인 시계나 상자가 아니라 사건에 대한 추상화이다. 

한편 우리는 사람이 자동차에 치인 사고는 사건이라고 여기지만, 대피라미드 같은 유명한 건축물이 하루 동안 그 자리에 그대로 있는 것은 보통 사건이라고 여기지 않는다. 그러나 화이트헤드 철학에서는 대피라미드가 하루 종일 존속하는 동안 대피라미드 내부에서도 자연의 삶이 진행된다. 그 자연의 삶도 추이하고 있다. 따라서 “대피라미드가 하루 동안 존속한다는 자연적 사실 즉 대피라미드 내부의 모든 자연은, 사람이 차에 치인 사건과 같은 특징을 가진 사건이다”(114쪽). “언제든 어디서든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면, 거기에 사건이 있다.” 그리고 사건에 대한 이런 주장은 과학에서 근거를 찾기 힘든 “자연의 이분화” 학설들과 달리, 시공간 전반에 걸쳐 전자기장의 놀이를 전제하는 근대 물리학에 의해 지지된다고 화이트헤드는 말한다. 화이트헤드는 사건에 대한 이러한 개념을 토대로 해서 “자연의 이분화”로 빠지지 않는, 자연에 대한 일관된 설명을 추구해 나간다. 

화이트헤드는 8장 「요약」에서 자연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이렇게 요약한다. “자연은 추이하는 사건들의 복합체로 우리 경험 속에 알려져 있습니다. 이 복합체 속에서 우리는 구성요소 사건들 사이의 한정적 상호관계를 식별하는데, 이 관계를 우리는 상대 위치라고 부를 수 있고, 우리는 이러한 여러 위치를 부분적으로는 공간의 관점에서, 부분적으로는 시간의 관점에서 표현합니다. 또한, 다른 사건에 대해서 가지는 단순한 상대적 위치에 덧붙여서, 각각의 특수한 사건은 자신의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자연은 사건들의 구조이며 각각의 사건은 이 구조 속에서 자신의 위치와 고유한 특징 및 성질을 갖습니다.”(240쪽)

 

우리 시대와 화이트헤드

최근 화이트헤드는 다양한 분야에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분석철학” 지형에서는 거의 잊혀버린 화이트헤드는 “대륙철학”이라고 불리는 지형에서는 뜨거운 감자이다. 

미국에서 화이트헤드는 주로 신학 분야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는 화이트헤드가 인식론이 주류인 시대에 형이상학을 하였고 나아가서는 신을 자신의 철학에 끌어들였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화이트헤드에 대한 신학적 관심은 찰스 하츠혼, 존 캅, 데이비드 레이 그리핀 등의 인물을 필두로 “과정신학”을 이루게 되었다. 이에 관해 브뤼노 라투르는 이자벨 스텡거스의 책 『화이트헤드와 함께 사고하기』에 붙이는 서문에서 “미국에서 화이트헤드의 명성은 그의 인식론적 이론에 해를 끼칠 정도로 그의 신학적 혁신에 치우쳐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화이트헤드에 관한 관심은 유럽에서는 다른 경향을 띠었다. 유럽에서 화이트헤드에 관한 관심은 일차적으로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의 사상에 크게 의존했다. 이는 화이트헤드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알려진 철학자 중 한 명인 이자벨 스탕게스가 들뢰즈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스탕게스는 화이트헤드의 신 개념을 다루지만,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만큼이나 과학철학에도 고르게 관심을 보인다. 도식적으로 표현하자면, 유럽에서 화이트헤드에 관한 관심을 나타내는 키워드는 사건, 카오스모스, 잠재태(가능태), 과정, 생성, 변화, 유동 등이다. 

한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이 널리 이름을 떨치기 시작한 시기, 화이트헤드의 철학에 대한 예상치 못한 관심이 사변적 실재론자들 사이에서 일어나기 시작했다. 라투르가 자연-사회 분열을 비판하고 비인간 행위소를 비롯한 행위소의 권력 투쟁과 협상을 논하고 있을 당시, 사변적 실재론은 상관주의를 다루고 있었다. 사변적 실재론의 한 조류라고 할 수 있는 객체지향 존재론의 지지자들은, 비록 서로 정도가 다르고 화이트헤드에게서 수용하는 부분과 그를 비판하는 부분도 다르지만 화이트헤드에 막대한 관심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라투르의 ‘번역’ 개념과 화이트헤드의 ‘파악’ 개념은 ‘간접적 접근’에 대한 객체지향 존재론의 스타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그레이엄 하먼은 화이트헤드/라투르와 들뢰즈의 동맹을 파기시키고 화이트헤드/라투르를 시간/공간의 기회원인론자로, 들뢰즈를 연속체의 극단주의자로 배치한다. 이언 보고스트는 화이트헤드를 참조하여 우주의 어떤 실체화된 힘이나 일종의 에너지로 해석되는 경향이 있는 창조성에 대한 훨씬 오묘한 독해를 제시하며, 그것을 놀이와 연관 짓는다. 

대륙철학에서 출발하여 화이트헤드를 연구하는 사람들, 즉 사건과 변화, 유동의 대변자들은 객체지향 존재론자들을 비판한다. 그 이유는 객체지향 존재론자들이 정태를 옹호하고, 관계를 부정하며, 화이트헤드에 의해 “이미” 패배한 것으로 알려진 실체 개념을 옹호하고, “직접적” 접근으로서의 “지식”을 거부한다고 그들은 보기 때문이다. 

 

책의 구성

이 책을 구성하는 아홉 개의 장을 거치며 자연에 관한 우리의 사고를 구성하는 여러 개념들은 화이트헤드의 안내에 따라 개조된다. 1장 「자연과 사고」에서 화이트헤드는 과학철학이라는 주제와 그 정의에 관해 고찰한다. 2장 「자연의 이분화 이론들」에서 화이트헤드는 자연을 이분화하는 여러 이론들에 관해 고찰하고, 그것이 자연철학을 위해 부적합함을 보여준다. 3장 「시간」에서는 시간 개념이 탐구된다. 어딘가 정돈된 느낌이 있는 유물론적 이론 대신 더 위대한 궁극적인 신비와 더 심오한 무지를 인정하는 시간 이론이 제시된다. 4장 「연장 추상화의 방법」에서는 연장 추상화의 방법이 소개되는데, 화이트헤드에 따르면 “연장 추상화의 방법은 경험의 즉각적 사실들의 관점에서 시간적 계열의 기원을 설명함과 동시에, 근대의 전자기적 상대성 이론이 요구하는 대안적인 시간적 계열의 현존을 허용”한다. 5장 「공간과 운동」에서는 공간과 운동의 문제를, 6장 「합동」에서는 측정의 문제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합동 개념이 다루어진다. 7장 「객체」에서는 영속성을 구성하는 것으로서의 객체 개념이 설명된다. 8장 「요약」과 9장 「궁극적인 물리 개념들」에서는 앞의 강의들에 대한 요약,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대한 비판과 그 수정이 해설된다. 부록으로 화이트헤드 연보와 저작 목록이 수록되었다.

 

 

지은이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Alfred North Whitehead, 1861~1947

 

영국의 철학자, 수학자, 논리학자. 영국 남부의 켄트주 램스게이트에서 태어났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을 전공했고, 동 대학의 특별연구원과 수석 강사, 런던대학의 임페리얼 칼리지 응용수학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 철학 교수를 역임했다. 수제자 버트런드 러셀과 공저 『수학 원리』를 썼다. 수리논리학 분야에서 획기적인 업적을 남긴 수학자, 논리학자로 높이 평가된다. 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원리 등 현대 자연과학을 철학에 도입하여 철학 사상사에 새로운 국면을 전개한 과학철학자이자 “유기체 철학”의 철학자이다. 『자연의 개념』은 화이트헤드가 런던 대학 재직 시절 집필한 과학철학 삼부작 중 하나로 삼부작의 다른 두 권은 『자연 인식의 여러 원리에 관한 연구』, 『상대성 원리』이다. 화이트헤드는 64세에 자신의 형이상학 삼부작의 첫 번째 저서 『과학과 근대세계』를 출간했고, 68세에 대표작 『과정과 실재 : 유기체적 세계관의 구상』을, 그로부터 4년 후에 『관념의 모험』을 출간했다. 그 밖의 저서로 『상징활동 : 그 의미와 효과』, 『교육의 목적』, 『사고의 양태』 등이 있다.

 

 

옮긴이

 

안호성 Ahn Ho Sung 1995~

 

와세다대학교에서 서양 철학을 전공하고 클레어몬트신학대학원을 중퇴하였다. 사변적 실재론에 관심이 많으며, 옮긴 책으로는 『사물들의 우주』와 『탈인지 : SF로 철학하기 그리고 아무도 아니지 않은 자로 있기』, 『저주체 : 인간되기에 관하여』, 『어두운 생태학 : 미래 공존의 논리를 위하여』, 『자연의 개념』이 있다.

 

  

책 속에서

 

흙, 물, 공기, 불, 물질, 마지막으로 에테르는 모두 자연의 궁극적 기체로 상정되었다는 점에서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계열을 형성합니다. 그것들은 궁극적 존재자들을 추구하는 것에서 우러나오는 그리스 철학의 시들지 않는 활력을 증언하며, 이 궁극적 존재자들은 감각-알아차림을 통해 드러난 사실의 여러 요인입니다. 이 추구야말로 과학의 기원입니다. ― 1장 자연과 사고, 37쪽

 

형이상학에 호소하는 것은 화약고에 성냥을 던지는 것과 같습니다. 그것은 무대 전체를 폭발시킵니다. 이것이 정확히 과학철학자들이 궁지에 몰리고 비정합성을 범했을 때 하는 일입니다. 그들은 일단 정신을 끌어들이고 경우에 따라 정신 속의 존재자나 정신 밖의 존재자를 말합니다. 자연철학에서 지각된 모든 것은 자연 속에 있습니다. 우리는 고르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우리에게 있어, 석양의 붉은 빛은 과학자들이 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분자와 전자파만큼이나 자연의 일부여야 합니다. 이러한 자연의 다양한 요소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바로 자연철학인 것입니다. ― 2장 자연의 이분화 이론들, 50쪽

 

자연은 하나의 과정입니다. 감각-알아차림 속에 직접적으로 드러난 모든 것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이러한 특징에 관한 설명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할 수 있는 것은 그것을 사변적으로 지시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고, 그러면서 자연의 이 요인이 다른 요인과 가지는 관계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 3장 시간, 84쪽

 

자연의 과정은 자연의 추이(passage)라고도 명명될 수 있습니다. 이 단계에서 저는 ‘시간’이라는 단어의 사용을 분명하게 자제할 것입니다. 과학과 문명화된 생활에서 측정가능한 시간이라는 것은 통상적으로, 자연의 추이라는 더 근본적인 사실의 일부 양상만을 보여줄 뿐이기 때문입니다. ― 3장 시간, 85쪽

 

우리는 언어와 공식 교육과 그에 따른 편리함으로 인해 우리의 사고를 이러한 유물론적 분석으로 표현하는 데 너무 훈련되어 있어서, 감각-알아차림 속에 진정으로 나타난 요인의 참된 통합성[단위성]을 지적으로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 자체 안에 자연의 추이를 담지한 이 단위 요인이야말로 자연 속에서 변별되는 일차적인 구체적 요소입니다. 이러한 일차적 요인이야말로 제가 사건이라는 용어를 통해 의미하는 것입니다. ― 4장 연장 추상화의 방법, 115쪽

 

언제든 어디서든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면, 거기에 사건이 있습니다. 게다가 ‘언제든 어디서든’이라는 구절 그 자체가 사건을 전제하는데, 시간과 공간 자체가 사건으로부터의 추상화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소위 빈 공간이라고 하는 것을 포함해서 모든 곳에서 언제나 무언가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이 학설에 뒤따르는 귀결입니다. 이러한 결론은 시공간 전반에 걸쳐 전자기장의 놀이를 전제하는 근대 물리학과 일치합니다. ― 4장 연장 추상화의 방법, 119쪽

 

저는 시간-체계와 연합된 무시간적 공간에 관해 이야기해 왔습니다. 이것은 물리학의 공간이자 영원하고 불변하는 것으로서의 공간의 개념입니다. 그러나 우리가 현실적으로 지각하는 것은, 우리의 알아차림과 연합된 시간-체계의 어떤 찰나 내부에 놓인 사건-입자들에 의해 나타나는, 순간적 공간에 대한 근사치입니다. ― 5장 공간과 운동, 169쪽

 

고립된 사건은 사건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모든 사건은 더 거대한 전체 속의 한 요인이고, 그 전체에 대해서 유의미하기 때문입니다. 공간을 떠나 시간은 있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시간을 떠나 공간은 있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자연의 사건들의 추이를 떠나 공간과 시간은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가 어떤 존재자를 사고 속에서 벌거벗은 ‘그것’으로 생각할 때, 자연 속에서는 사고 속 존재자의 고립에 상응하는 고립된 상태를 찾을 수 없습니다. 그러한 고립은 단지 지적 인식이 가지는 절차의 일부일 뿐입니다. ― 6장 합동, 205쪽

 

객체는 어떤 사건의 특징을 구성하는 성분입니다. 사실, 사건의 특징이 바로 사건을 구성하는 객체이며, 그 객체가 사건에 진입하는 방식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객체 이론은 사건 비교 이론입니다. ― 7장 객체, 207쪽

 

 

목차

 

서문  5

 

1장 자연과 사고  11

2장 자연의 이분화 이론들  45

3장 시간  77

4장 연장 추상화의 방법  113

5장 공간과 운동  147

6장 합동  175

7장 객체  207

8장 요약  237

9장 궁극적인 물리 개념들  265

    주 : 점에 대한 그리스적 개념에 관해서  282

    주 : 의미작용과 무한 사건에 관해서  284

 

286 옮긴이 후기

297 화이트헤드 연보

301 화이트헤드 저작 목록

305 인명 찾아보기

307 용어 찾아보기

 

 

책 정보

 

2025.2.28 출간 l 사륙판 130×188mm, 무선제본 l 카이로스총서110, Mens

정가 22,000원 | 쪽수 320쪽 | 무게 324g | ISBN 9788961953764 93100

도서분류  철학, 자연철학, 과학철학

 

 

북카드

 

바로가기

 

 

구입처

 

교보문고  알라딘  예스24  영풍문고

 

 

미디어 기사

 

[아츠앤컬쳐] 도서출판 갈무리,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저 '자연의 개념' 출간

[경향신문] 새책 / 자연의 개념

[교수신문] BOOK / 자연의 개념

[더리포트] 갈라치지 말라, 화이트헤드 ‘자연의 개념’

 

 

보도자료

재입고 알림 신청
휴대폰 번호
-
-
재입고 시 알림
floating-button-img